맨위로가기

가브리엘 리프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브리엘 리프만은 룩셈부르크 출신의 프랑스계 유대인 물리학자이다. 그는 프랑스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하고 독일에서 과학 교육 기법을 배운 후, 소르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리프만은 전기 현상과 모세관 현상의 관계를 연구하여 민감한 모세관 전위계를 개발했으며, 1908년에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한 컬러 사진술을 발명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적분 사진술과 브라운 래칫, 콜로스타트 발명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 유대인 - 휴고 건스백
    휴고 건스백은 룩셈부르크 출신의 발명가이자 SF 잡지 편집자, 작가로, SF 장르 대중화에 기여하고, SF 용어를 만들었으며, 라디오 방송국 설립에도 참여했다.
가브리엘 리프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프만 (1908년)
출생 이름조나스 페르디난트 가브리엘 리프만
출생일1845년 8월 16일
출생지본네부아, 홀레리히, 룩셈부르크, 독일 연방
사망일1921년 7월 12일
사망 장소SS 프랑스 호, 대서양
국적프랑스
학력
모교고등사범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구스타프 키르히호프
학문 지도교수헤르만 폰 헬름홀츠
박사 과정 학생마리 퀴리
콘스탄틴 미쿨레스쿠
연구 및 업적
알려진 업적리프만 전위계
리프만 판
전자습윤
집적 영상
압전기
주요 연구 분야물리학
근무 기관소르본 대학교
수상
훈장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 1881; 장교, 1894; 사령관, 1900; 대십자, 1919)
왕립학회 회원외국인 회원 (1896)
노벨상노벨 물리학상 (1908)

2. 생애

룩셈부르크의 본브와에서 프랑스계 유대인 가정의 아들로 태어나[3][29]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파리로 이주했다.[30] 고등사범학교와 독일 유학을 거쳐 물리학자의 길을 걸었으며,[4][30][5] 소르본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31][30] 1888년 소설가 빅토르 셰르뷔지에의 딸과 결혼했고,[30] 1921년 캐나다로 향하던 중 선상에서 사망했다.[3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가브리엘 리프만은 1845년 8월 16일 룩셈부르크 본브와(Bonnevoie, 룩셈부르크어: Bouneweg)에서 태어났다.[3] 당시 본브와는 홀레리히(Hollerich, 룩셈부르크어: Hollerech) 코뮌의 일부였으며, 현재는 모두 룩셈부르크 시의 구역이다. 그의 아버지는 메츠 근처 에네리(Ennery) 출신의 프랑스계 유대인 이사이(Isaïe)로, 본브와에서 가족의 장갑 제조 사업을 운영했다.[29] 1848년, 세 살 때 가족과 함께 파리로 이주했다.[30] 리프만은 처음에는 어머니 미리암 로즈(Lévy)에게 가정교육을 받았고,[30] 이후 앙리 4세 리세(Lycée Henri-IV, 당시 나폴레옹 리세)에 다녔다.[4] 그는 다소 부주의하지만 사려 깊은 학생이었으며 특히 수학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1868년,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 입학했지만,[4] 관심 있는 과목만 공부하여 교원 자격 시험인 아그레가시옹(agrégation)에는 응시하지 않고 물리학을 공부하기로 결정했다.[30] 1873년, 프랑스 정부의 지시로 과학 교육 기법을 배우기 위해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30]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는 구스타프 키르히호프빌헬름 퀴네 밑에서 공부하며 키르히호프의 격려로 전기학 연구에 매진했고,[5][30] 베를린 대학교에서는 헤르만 폰 헬름홀츠 밑에서 수학했다.[30] 1874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summa cum laude|숨마 쿰 라우데la(최우등)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

''소르본느 물리학 연구소의 리프만 교수'' (Bibliothèque de la Sorbonne, NuBIS)


리프만은 1875년 파리로 돌아와 연구를 계속했으며, 1878년 소르본느의 연구원이 되었다.[6][7][8][31][30] 1883년에는 같은 대학의 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어 음향학과 광학을 가르쳤다.[9][31][30]

2. 2. 학문적 경력

리프만의 정전계


1868년,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했다. 하지만 관심 있는 과목만 공부했기 때문에 교원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다. 1873년, 프랑스 정부의 지시로 과학 교육 기법을 배우기 위해 독일로 갔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는 빌헬름 퀴네구스타프 키르히호프 밑에서, 베를린 대학교에서는 헤르만 폰 헬름홀츠 밑에서 수학했다. 1875년 파리로 돌아와 연구를 계속했고, 1878년 소르본느 연구원이 되었으며, 1883년에는 동 대학교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31][30]

2. 3. 사망

1921년 7월 13일, 캐나다에서 출발한 기선 ''France'' 호 선상에서 사망했다.[26][32]

3. 주요 업적

리프만은 수년에 걸쳐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그는 전기 현상과 모세관 현상 사이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민감한 리프만 전위계를 개발했으며, 이는 초기 심전도(ECG) 측정 장치에 활용되었다.[10][11][12] 또한 1881년에는 역압전 효과를 예측했다.[13]

가장 널리 알려진 업적은 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자연색 사진을 재현하는 방법을 발명한 것이다. 이 공로로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3][5][33] 비록 실용적인 문제로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이 기술은 후대 컬러 사진 기술 발전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16]

1908년에는 입체 영상의 원리를 이용한 '적분 사진술'을 고안했으며,[17][18] 지구자전을 보정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장치인 콜로스타트를 발명하기도 했다.[4] 1900년에는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된 사고 실험인 브라운 래칫을 제안했다.[19][20] 그 외에도 프랑스 광학 연구소 설립에 크게 기여했다.

3. 1. 모세관 전위계

리프만의 박사 학위 논문은 1875년 7월 24일 소르본 대학교(Sorbonne)에 제출되었으며, 전기 모세관 현상에 관한 내용이었다.[12] 그의 초기 발견 중 하나는 전기 현상과 모세관 현상 간의 관계였으며, 이를 통해 그는 민감한 모세관 전위계를 개발했다. 이후 리프만 전위계로 알려진 이 장치는 최초의 심전도(ECG) 기기에 사용되기도 했다.

1883년 1월 17일, 글래스고 왕립 철학 학회(Royal Philosophical Society of Glasgow)에서 존 G. 맥켄드릭(John G. M'Kendrick)은 이 장치의 구조와 원리를 설명했다. 리프만 전위계는 길이 1m, 지름 7mm의 일반 유리관으로 만들어진다. 양쪽 끝이 열려 있으며 튼튼한 지지대로 수직으로 세운다. 유리관의 아랫부분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 모세관 형태를 이루는데, 그 지름은 0.005mm 정도이다. 유리관 내부는 수은으로 채워지고, 모세관 끝은 묽은 황산(물과 황산의 부피 비율 6:1) 용액에 담근다. 이 황산 용액이 담긴 용기 바닥에는 약간의 수은이 더 놓여 있다. 각 유리관의 수은은 백금선과 연결되며, 모세관 끝을 배율 250배의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장치가 구성된다.

이 장치는 매우 민감하여, 리프만은 다니엘 전지 전압의 10,080분의 1에 해당하는 작은 전위차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 장치는 미세한 기전력을 관찰하고 (보상법으로 눈금을 매길 수 있으므로) 측정하는 매우 정밀한 수단이다.[10][11]

3. 2. 압전 효과 예측

1881년, 리프만은 역압전 효과를 예측했다.[13]

3. 3. 컬러 사진술 (리프만 사진술)

리프만이 1890년대에 제작한 컬러 사진. 안료나 염료 없이 빛의 간섭 현상만으로 색을 재현했다.


가브리엘 리프만은 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자연색 그대로 사진에 담는 방법을 발명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혁신적인 기술 개발의 공로로 그는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33]

1891년 과학 아카데미에 처음 발표된[3] 이 방식은 현재 널리 쓰이는 빛의 삼원색(빨강, 녹색, 파랑)을 분해하여 기록하는 방식과 달리, 빛의 파동적 성질을 이용해 스펙트럼 전체의 정보를 물리적으로 기록하는 독특한 접근법이었다.[33] 하지만 영상의 선명도 문제나 비용 등 여러 기술적, 실용적 어려움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33][16]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프만의 선구적인 시도는 이후 컬러 사진 기술 발전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16]

3. 3. 1. 원리



가브리엘 리프만은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사진으로 색을 재현하는 방법을 발명한 공로로 알려졌으며, 이 업적으로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33]

1886년, 리프만은 태양 스펙트럼의 색을 사진 건판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891년 2월 2일, 그는 과학 아카데미에 "사진 건판에 그 색깔 그대로 스펙트럼 영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영상은 고정되어 햇빛에도 변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3][33] 1892년 4월에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여러 국기, 붉은 양귀비가 담긴 오렌지 그릇, 다채로운 색의 앵무새 등의 컬러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제작했다고 보고했다. 그는 간섭 현상을 이용한 컬러 사진 이론을 1894년1906년 두 차례에 걸쳐 논문으로 발표했다.[5]

정상파(Standing wave). 빛이 거울에 반사될 때 이러한 정상파가 형성되며, 리프만 사진술의 핵심 원리이다. 빨간 점은 파동의 마디(node)이다.


리프만 사진술의 핵심 원리는 의 간섭 현상이다. 특정 파장의 빛이 거울에 반사되면 정상파가 만들어지는데, 이는 잔잔한 물에 돌을 던졌을 때 생기는 물결이 벽에 부딪혀 반사될 때 정상파가 생기는 것과 유사하다. 일반적인 비결맞음 빛의 경우, 정상파는 반사 표면 바로 근처의 아주 얇은 공간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난다.

리프만은 이 현상을 활용하기 위해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더 미세한 부분까지 기록할 수 있는 특수한 사진 건판을 사용했다. 빛은 먼저 유리판을 통과하여, 아주 미세한 할라이드 입자가 포함된 매우 얇고 거의 투명한 사진 유제 층으로 들어간다. 유제 바로 뒤에는 수은 액체로 만든 임시 거울이 빛을 다시 유제 쪽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입사하는 빛과 반사된 빛이 간섭하여 정상파를 만든다. 정상파의 마디 부분은 빛의 세기가 약해 유제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배 부분은 빛의 세기가 강해 유제를 감광시켜 잠상을 형성한다.

이 건판을 현상하면, 정상파의 패턴이 유제 내부에 라멜라(lamella)라고 불리는 매우 미세하고 평행한 층 구조로 영구히 기록된다. 이 라멜라 층들 사이의 간격은 기록된 빛의 유제 내 파장의 절반(λ/(2n), 여기서 λ는 공기 중 빛의 파장, n은 유제의 굴절률)에 해당한다. 즉, 빛의 색깔 정보가 라멜라 간격의 형태로 건판에 저장되는 것이다. 간격이 넓을수록 기록된 빛의 파장이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붉은색 빛은 가장 긴 파장을 가지므로 가장 넓은 간격의 라멜라 구조를 만든다.[9]

완성된 리프만 건판을 보기 위해서는 거의 수직 각도에서 햇빛이나 다른 백색광을 비춘다. 그러면 건판의 각 지점에서, 해당 지점의 라멜라 구조를 만들었던 원래 빛과 거의 동일한 파장의 빛이 강하게 반사되어 관찰자에게 도달한다. 다른 파장의 빛은 은 입자에 흡수되거나 산란되지 않고 대부분 유제를 통과하여 건판 뒷면에 칠해진 검은색 반사 방지 코팅에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원래 피사체의 색깔, 즉 빛의 파장이 재구성되어 완전한 컬러 이미지가 보이게 된다.[14][15][16]

하지만 리프만 공정은 실제 사용하기 어려웠다. 매우 미세한 입자를 사용하는 고해상도 사진 유제는 일반 유제보다 감도가 훨씬 낮아 매우 긴 노출 시간이 필요했다.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노출 시간이 보통 수 분에 달했으며, 1분 미만은 드물었다. 순수한 스펙트럼 색은 잘 재현되었지만, 실제 사물에서 반사되는 넓은 파장 대역의 빛은 색 재현이 부정확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방식으로는 종이에 컬러 인쇄물을 만들 수 없었고, 완성된 사진을 다시 촬영하여 복제하는 것도 불가능했기 때문에 모든 리프만 사진은 유일무이한 원본이었다. 완성된 건판은 표면 반사를 줄이기 위해 앞면에 얕은 각도의 프리즘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문에 큰 크기의 건판 제작은 비실용적이었다. 초기 사진 크기는 4cm x 4cm 정도였고, 나중에 6.5cm x 9cm로 커졌다.[9] 최적의 색상을 보기 위한 조명과 관찰 각도도 까다로워 일상적인 사용에는 불편함이 따랐다. 특수 건판과 수은 거울이 내장된 건판 홀더가 1900년경 잠시 판매되기도 했지만, 전문가조차 일관되게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 결국 리프만 사진술은 과학적으로는 흥미롭고 우아했지만, 실험실 수준의 기술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이후 컬러 사진 기술 발전에 중요한 자극제가 되었다.[16]

리프만 공정은 사진 매체에 정상파를 기록한다는 점에서 현대 레이저 홀로그래피 기술의 선구적인 형태로 평가받는다. 특히 데니슈크(Denisyuk) 반사 홀로그램은 리프만-브래그 홀로그램이라고도 불리는데, 리프만 사진처럼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유사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홀로그램은 리프만 사진과 유사한 원리로 색 정보를 기록하고 재현하지만, 결맞음성이 매우 높은 레이저 빛을 사용하므로 기록 매체 바로 뒤에 거울을 둘 필요 없이 더 넓은 공간에 정상파를 형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3. 3. 2. 한계

리프만의 간섭법을 이용한 컬러 사진 기술은 과학적으로는 혁신적이었지만, 실제 사용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한계가 따랐다.

우선, 이 방식은 매우 미세한 고해상도 사진 유제를 사용해야 했는데, 이는 일반 유제보다 감도가 훨씬 낮아 노출 시간이 길어야만 했다.[16] 매우 밝은 햇빛 아래에서 촬영하더라도 분 단위의 노출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순수한 스펙트럼 색상은 잘 재현되었지만, 실제 사물이 반사하는 넓고 불명확한 파장 대역을 정확히 담아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16]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단점이 많았다. 리프만 사진은 종이에 컬러 인쇄물을 만들 수 없었고, 사진을 다시 촬영하여 복제하는 것도 불가능했기 때문에 모든 사진은 유일무이한 원본이었다.[16] 완성된 건판에는 표면 반사를 줄이기 위해 프리즘을 붙여야 했는데, 이 때문에 건판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초기 사진 크기는 4cm x 4cm였고, 나중에 6.5cm x 9cm로 커졌지만 여전히 작은 편이었다.[9] 색상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조명과 관찰 각도가 필요하여 편안하게 사진을 보기 어려웠다.[16]

이러한 기술적, 실용적 문제들로 인해 특수 건판과 홀더가 1900년경 판매되기도 했지만, 전문가조차도 일관되게 좋은 결과물을 얻기 어려웠다.[16] 결국 리프만 방식은 영상이 선명하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어[33]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과학적으로는 흥미롭지만 실용성이 떨어지는 기술로 남게 되었다.[16]

3. 4. 적분 사진술 (Integral Photography)

1908년, 리프만은 자신이 "적분 사진술(integral photography)"이라고 명명한 기술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촘촘하게 배열된 작고 둥근 렌즈들을 평면에 사용하여 장면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장면의 이미지를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약간씩 다른 각도로 본 것처럼 기록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들을 보정하여 비슷한 렌즈 배열을 통해 보면, 관찰자의 각 눈은 모든 이미지의 작은 부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를 보게 된다. 눈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이미지의 부분이 달라진다. 그 효과는 원래 장면의 시각적 모습이 재구성되어 렌즈 배열의 경계가 마치 실물 크기의 입체적인 장면을 보는 창문 가장자리처럼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관찰자의 위치가 바뀌면 시차원근감이 실제처럼 변화한다.[17]

여러 개의 렌즈나 이미징 구멍을 사용하여 나중에 광장(light field)이라고 불리게 된 것을 기록하는 이 원리는 오늘날 발전하고 있는 라이트필드 카메라 및 현미경 기술의 기초가 된다.

리프만이 1908년 3월 자신의 "적분 사진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발표했을 때, 실제 결과물을 함께 제시하지는 못했다. 당시에는 적절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렌티큘러 스크린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에 들어서 유진 에스타나브는 유리 스탠홉 렌즈를 사용했고, 루이 뤼미에르는 셀룰로이드를 이용하여 가능성 있는 실험들을 진행했다.[18] 리프만의 적분 사진술은 3차원 및 애니메이션 렌티큘러 이미지 연구와 색상 렌티큘러 렌즈 공정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3. 5. 브라운 래칫 (Brownian Ratchet)

1900년, 그는 나중에 브라운 래칫으로 불리는 것을 제안했는데, 이는 맥스웰의 도깨비의 순수하게 기계적인 버전으로, 기체 운동론이 열역학 제2법칙과 양립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다.[19][20]

3. 6. 콜로스타트 (Coelostat)

리프만은 또한 지구자전을 보상하여 하늘의 특정 영역을 움직임 없이 촬영할 수 있게 해주는 천문학적 도구인 콜로스타트를 발명했다.[4]

4. 수상 및 서훈

1908년 리프만은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색을 재현하는 립만식 천연색 사진 발명[33]의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 방식은 특정 주파수 대역 전체의 빛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물리학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나, 영상 선명도 문제와 높은 비용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리프만은 다양한 학술 단체에서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1886년 2월 8일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12년에는 회장을 역임했다.[21][34]
  • 영국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이었다.[35]
  • 런던 왕립학회: 회원이었다.
  • 경도국: 회원이었다.[4][30]
  • 룩셈부르크 대공 연구소(Grand Ducal Institute영어): 회원이었다.
  • 프랑스 사진 학회: 1892년 회원이 되었고, 1896년부터 1899년까지 회장을 지냈다.[22]
  • 프랑스 천문학회 (SAF): 1903년부터 1904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23]


또한 프랑스의 응용 및 이론 광학 연구소(Institut d'optique théorique et appliquée프랑스어)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프랑스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다. 수훈 내역은 다음과 같다.[24]

연도등급
1881년 12월 29일기사장 (Chevalier)
1894년 4월 2일장교 (Officier)
1900년 12월 14일지휘관 (Commandeur)
1919년 12월 6일대장교 (Grand Officier)



룩셈부르크 시티에는 그의 이름을 딴 기초 과학 연구소 Centre de Recherche Public Gabriel Lippmann프랑스어가 설립되었으나, 2015년 1월 1일 다른 연구 센터와 통합되어 룩셈부르크 과학기술연구소(LIST)로 개편되었다.[25]

5. 기타

리프만은 1886년 2월 8일부터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으며, 1912년에는 회장을 역임했다.[21] 또한 영국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이자 런던 왕립학회 회원이었으며,[35] 경도국 회원,[4] 그리고 룩셈부르크 대공 연구소 회원이었다.

그는 1892년 프랑스 사진 학회 회원이 되었고 1896년부터 1899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22] 리프만은 프랑스의 응용 및 이론 광학 연구소(Institut d'optique théorique et appliquée프랑스어)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또한 1903년부터 1904년까지 프랑스 천문학회인 프랑스 천문학회 (SAF) 회장을 역임했다.[23]

참조

[1] 수학 계보
[2] 웹사이트 Gabriel Lippmann | French physicist https://www.britanni[...] 2023-08-12
[3] 서적 Gabriel Lippmann's colour photography: science, media, museums https://www.worldcat[...] 2022
[4] 웹사이트 Gabriel Lippmann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10-12-04
[5] 간행물 Gabriel Lippmann 1845–1921 http://massard.info/[...] Section des sciences naturelles, physiques et mathématiques de l’Institut grand-ducal de Luxembourg en collaboration avec le Séminaire de mathématique et le Séminaire d’histoire des sciences et de la médecine du centre universitaire de Luxembourg 1997
[6] 서적 History of Photography Dover 1978
[7] 서적 Nobel Lectures, Physics 1901–1921 Elsevier Publishing Company 1967
[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8 http://nobelprize.or[...]
[9] 서적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photography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8
[10] 논문 Note on a Simple Form of Lippmann's Capillary Electrometer useful to Physiologists
[11] 웹사이트 Kapillārelektromēter http://www.retrobibl[...] Meyers Konversationslexikon
[12] 웹사이트 About Gabriel Lippmann https://web.archive.[...] 2017-09-28
[13] 학술지 Principe de la conservation de l'électricité http://gallica.bnf.f[...]
[14] 서적 A Handbook of Photography in Colours Marion & Co. 1900
[15] 서적 Practical Color Photography American Photographic Publishing Co. 1922
[16] 웹사이트 Lippmann's and Gabor's Revolutionary Approach to Imaging http://nobelprize.or[...]
[17] 학술지 Épreuves réversibles. Photographies intégrales https://gallica.bnf.[...] 1908-03-02
[18] 서적 3D and Animated Lenticular Photography: Between Utopia and Entertainment De Gruyter 2015
[19] 학술지 La théorie cinétique des gaz et le principe de Carnot 1903-12-01
[20] 학술지 How molecular motors extract order from chaos (a key issues review) https://iopscience.i[...] 2016-03-01
[21] 웹사이트 Les Membr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depuis sa création (en 1666) https://web.archive.[...] Académie des sciences 2008-03-01
[22] 간행물 La photographie interférentielle de Lippmann, méthode parfaite et oubliée de reproduction des couleurs https://archive.toda[...] Musée de l'Élysée 2000
[23] 간행물 Bulletin de la Société astronomique de France http://gallica.bnf.f[...] 1911
[24] 웹사이트 LIPPMANN, Jonas Ferdinand Gabriel https://www.leonor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2023-09-24
[25] 간행물 Annuaire du Luxembourg 2015 Editus 2015
[26] 뉴스 Gabriel Lippmann, Scientist, Dies at Se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21-07-14
[27] 웹사이트 Gabriel Lippmann http://genealogy.mat[...]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2015-08-31
[28] 기타 Gabriel Lippmann. Notice biographique 1984
[29] 간행물 Gabriel Lippmann et le Luxembourg http://massard.info/[...] 1997
[30] 웹사이트 Gabriel Lippmann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07-02-12
[31] 서적 History of Photography, 4th. edition Dover Publications, Inc. 1945
[32] 뉴스 Gabriel Lippman, Scientist, Dies at Sea http://query.nytimes[...] The New York Times 1921-07-14
[33] 서적 Nobel Lectures, Physics 1901-1921 Elsevier Publishing Company 1967
[34] 웹사이트 Les Membr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depuis sa création (en 1666) http://www.academie-[...] Académie des sciences 2008-03-01
[35] FRS Lippmann; Gabriel Jonas (1845 - 1921) 201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